우리나라 경제활동 인구의 98%(2500만명)가 이용하는 공인인증서. 그러나 최근 인터넷 전자상거래에 사용되는 범용공인인증서를 매매하는 등 공인인증서 해킹 피해를 당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. 공인인증서는 안전한 신용거래를 담보해주지만, 해킹과 같이 자칫 잘못 관리될 경우 악용될 소지가 높아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요. 무엇보다 공인인증서의 안전한 이용을 위해 저장, 보관 및 비밀번호 이용방법 등을 숙지할 필요가 있겠죠?
그래서 오늘 푸르덴셜스토리에서 공인인증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![]() Life is too short to remove usb safely by -eko- ![]() ![]() ![]() |
하나의 인증서로 모든 거래 가능! 안전성도 높은 범용공인인증서
공인인증서는 용도에 따라 범용공인인증서와 용도제한용 공인인증서로 나뉘는데요. 용도제한용 공인인증서란 은행, 카드, 보험용, 증권, 관세청 등 각각 정해진 특정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는 공인인증서를 말합니다. 이 공인인증서는 각각 분야에 따라 여러 개의 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죠.
범용 공인인증서는 말 그대로 두루두루 모든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인인증서입니다. 이용범위에 제한이 없어 한 장의 공인인증서로 인터넷뱅킹, 온라인증권거래, 인터넷 쇼핑몰, 전자민원서비스 등 모든 전자거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요. 다만 연간 4400원의 발급수수료가 부과됩니다. 발급수수료가 들지만, 단 하나의 인증서로 모든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은 범용 공인인증서의 가장 큰 장점! 실제로 현재 범용 공인인증서를 사용하는 이용자들도 사용이유를 이 점을 꼽는데요. 범용공인인증서는 안전성도 높습니다.
비밀번호 전부 외우지 않아도 로그인할 수 있는 방법!
범용공인인증서는 각종 사이트에서 간편하게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. 하루에도 수많은 사이트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(SNS), 각종 커뮤니티, 온라인 쇼핑몰 등 수십개의 사이트에 접속하는 네티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난처했던 경험이 있을 텐데요.
특히 최근에는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3개월에 한 번씩 비밀번호를 바꾸도록 권장하고 있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전부 외우기는 벅찬 일. 그러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전부 외우지 않아도 사이트에 로그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 바로 범용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는 방법! 범용 공인인증서 비밀번호만 알면 적용된 사이트에서는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데요. 아직까지는 범용공인인증서 로그인이 대중화된 단계는 아니지만 향후 범용공인인증서 로그인을 적용하는 사이트가 많아지면 사용자들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겁니다.
♣현재 범용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할 수 있는 사이트!
온라인 쇼핑 11번가(http://www.11st.co.kr)
우체국 쇼핑(http://mall.epost.go.kr)
마이크레딧(www.mycredit.co.kr)
올크레딧(www.allcredit.co.kr)
크레딧뱅크(www.creditbank.co.kr)
사이렌24(www.siren24.com)
공인인증서, 이동식 저장매체에 저장해 안전하게 사용하세요.
최근 공인인증서 재발급을 악용한 신종 보이스 피싱이 등장했는데요. 나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일으니 공인인증서 관리 제대로! 똑똑하게! 해야겠죠?
1. 공인인증서, PC나 이메일에 저장하지 마세요.
- 행정안전부에 따르면, 공인인증서 이용자의 62.8%가 PC에 인증서를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. 이렇게 PC에 공인인증서를 보관할 경우, 악성코드가 PC에 설치되면 사용자 모르게 공인인증서를 비롯해 금융정보 등이 해커에게 유출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기존 PC에서 사용하던 공인인증서도 이동식 저장매체로 옮겨서 사용하는 게 안전합니다.
2. 처음 공인인증서 발급 때부터 이동식 저장매체에 저장하세요!
- 공인인증서를 안전하게 관리할 때 제일 좋은 방법은 처음 공인인증서 발급 때부터 이동식 저장매체에 저장해 보관하는 겁니다. 공인인증서를 발급할 때 공인인증기관 및 등록 대행기관 홈페이지에 접속하면서 PC에 USB, CD-ROM 등 이동식 저장매체를 연결하면 되는데요. 이후 공인인증서 저장매체 선택 화면이 PC에 뜨면, USB 등 이동식 저장매체를 선택하면 됩니다.
3. 공인인증서에 비밀번호(암호)를 설정하는 방법도 중요!
- 이메일, 게임사이트 등의 비밀번호와 유사 또는 동일한 비밀번호, 가족의 이름, 생일, 주소, 휴대전화번호 등을 포함한 비밀번호, 숫자로만 이뤄진 비밀번호는 위험!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는 타인이 쉽게 유추할 수 없도록 영문 대, 소문자, 숫자, 특수문자 등을 섞어서 8자리 이상으로 만들어야 합니다.
(자료 출처: 한국인터넷진흥원)
이밖에도 공인인증서를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공인인증서를 발급 받거나 사용해선 안되는데요. 타인의 명의로 공인인증서를 발급 받거나 다른 사람에게 공인인증서를 빌려주거나 받아서 사용할 경우 징역 또는 벌금이 부과되므로 주의해야합니다.
정부도 올 초 공인인증서를 이용자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인인증서 안전성 강화대책을 발표한 바 있는데요. 무엇보다 본인이 공인인증서 관리를 안전하게 해야겠죠?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일이 없도록 사전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.
'노후연금백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노후대비 자격증, 사회복지사부터 보육교사 자격증 취득하는 방법 (0) | 2012.07.23 |
---|---|
[보험가입] 보험료가 부담될때 해지하지 않고 유지하는 방법 (1) | 2012.07.20 |
[공인인증서 재발급방법] 범용공인인증서 해킹? 제대로 관리하세요! (0) | 2012.07.03 |
직장인 신용카드 추천, 교통비와 주유할인카드로 할인혜택 누리기! (0) | 2012.06.29 |
20대 재테크 노하우, 국가장학금 신청해서 부담 덜어내는 방법 (0) | 2012.06.11 |
[기름값비교] 기름값 아끼는 운전 습관, 에코드라이빙으로 기름값 절약하기! (0) | 2012.06.04 |